|
|
 |
이 노래는 평생 해줘요 この曲は一生やっていきなさい |
ヒバリのこころ Hibari no Kokoro 종달새의 마음 |
ⅰ
돌이켜보면 지금까지 나는 수없이 많은 밴드의 노래를 사랑했지만, 이십대부터 지금까지 내 인생의 특정한 순간들과 연결된 노래들을 부른 밴드는 라디오헤드가 유일한 것 같다. 너바나는 커트 코베인이 자살하는 바람에 일찌감치 탈락했고, 스매싱 펌킨스와 서태지가 유력한 후보였지만 2000년대가 시작되고 내가 삼십대가 되면서 이상하게도 멀어졌다. 그건 오아시스나 그린데이 같은 밴드도 마찬가지다. 삼십대에는 시규어 로스를 무척 좋아했지만, 이십대에는 그런 음악을 들을 생각도 하지 않았다. 오직 라디오헤드만을 이십대와 삼십대를 통틀어, 그리고 지금도 열렬히 지지하면서 들을 수 있다. 어쩌면 그건 내가 성장하는 꼭 그만큼만 라디오헤드의 음악도 성장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이십 년에 걸쳐서 어떤 밴드의 음악과 내 인생이 나란히 진행한다는 것, 그런 밴드를 가진다는 건 정말 행운이다. 그런 밴드가 있다면 "내 인생은 다른 여러 인생들의 짜깁기!" 같은 헛소리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
당연한 말이지만, 이십 년 동안 쭉 좋아할 만한 밴드의 노래를 우리가 지금 들을 수는 없다. 그들이 이십 년 동안 나와 더불어 성장하면서 고르게 활동할지 예측할 수는 없으니까. 내가 들을 수 있는 건 지금 좋은 노래뿐이다. 이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그건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1995년 『Creep』을 들으면서 내가 이십 년 동안 따라가면서 들을 만한 밴드의 노래를 들었다고 말하는 것도 거짓말은 아니다.
김연수의 산문 『소설가의 일』의 <다리가 불탔으니 이로써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 중에서. | 
소설가의 일 |
라디오헤드(Radiohead)의 Creep은 1992년에 싱글로 나오고 이듬해 2월 앨범으로 나왔다.
그리고 1995년에 개봉된 트란 안 훙(Trần Anh Hùng) 감독의 영화 씨클로(Xích Lô)를 보면
라디오헤드의 그 노래가 배경으로 흘러나오는 장면이 있다.
● 씨클로에서의 Creep 영상, 유튜브 바로가기
김연수는 "1995년 『Creep』을 들으면서"라고 하면서 특정 연도를 언급하고 있고
위에 인용한 대목 바로 앞에서 영화의 그 장면을 떠올리는 얘기가 나오는 것으로 짐작하건대
그가 라디오헤드 음악을 처음 접한 것은 그 영화에서가 아닌가 싶다.
아무튼 그렇게 1995년부터 지금까지 이십 년 동안 쭉 라디오헤드와 함께 성장해왔다는데.
1995년.
나는 어떤 음악을 만났을까. | 
씨클로 |
僕が君に出会ったのは
冬も終わりのことだった | 내가 널 우연히 만났던 것은
겨울도 그것도 막바지 때였다 |
입학, 졸업, 취업, 이직, 결혼, 출산 등의 특별한 일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지난 시절의 특정 연도에 어떤 음악을 처음 접하게 되었는지 떠올리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이런저런 연대기를 뒤적이며 돌이켜보니
1995년은 내게도 의미가 있는 연도라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김연수만큼이나 아니 그보다 더.
내가 스핏츠(スピッツ)의 음반을 처음으로 손에 쥐었던 것이 바로 그해 가을이었다.
그 즈음에 발매되었던 ハチミツ(Hachimitsu, 벌꿀) 앨범이었는데
그날 이후 나에게 스핏츠는 (앞서 인용한 김연수의 표현을 빌리자면)
"내 인생의 특정한 순간들과 연결된 노래들을 부른 밴드"가 된 셈이다.
김연수는 1995년에 라디오헤드의 Creep을 처음 듣고 반한 이후,
Pablo Honey, The Bends와 같은 기존 앨범들을 거슬러 올라가 들었을 것이고
또 이후에 나오는 OK Computer, Kid A 등의 앨범을 따라갔을 것이다.
나 역시 그랬다.
그제서야 처음 접했던 스핏츠는 이미 여섯 장의 정규 앨범을 발매한 밴드였기에
이전의 앨범들을 거슬러 올라가 훑기 시작했고 또 한편 새로 발매되는 앨범도 쫓아갔다.
김연수는 라디오헤드와 함께
나는 스핏츠와 함께
그렇게 이십 년을 지나온 셈이다. |  |
김연수는 말한다.
"이십 년에 걸쳐서 어떤 밴드의 음악과 내 인생이 나란히 진행한다는 것,
그런 밴드를 가진다는 건 정말 행운"이라고.
맞는 말이다.
그리고 나도 이렇게 말할 수 있다.
"1995년 스핏츠를 들으면서
내가 이십 년 동안 따라가면서 들을 만한 밴드의 노래를 들었다고 말하는 것도
거짓말은 아니다."
이런 말을 하게 되면 벅차오르지 않을 수 없고
그런 기분에는 무조건 이 노래를 들어줘야 한다. |  |
涙がこぼれそうさ
ヒバリのこころ | 눈물이 흘러내릴 것 같아
종달새의 마음 |
ⅱ
● 노랫말 그리고 스핏츠 팬을 위한 덧붙임, 열기
ヒバリのこころ(종달새의 마음)
작사·작곡: 쿠사노 마사무네(草野正宗)
僕が君に出会ったのは
冬も終わりのことだった
降り積もった角砂糖が溶けだしてた
白い光に酔ったまま
レンゲ畑に立っていた
目をつぶるだけで遠くへ行けたらいいのに
내가 널 우연히 만났던 것은
겨울도 그것도 막바지 때였다
내려 쌓인 각설탕이 녹기 시작하고 있었다
하얀빛에 취한 채
연꽃밭에 서 있었다
눈을 감는 것 만으로 저 멀리 갈 수 있으면 좋겠는데
僕らこれから強く生きていこう
行く手を阻む壁がいくつあっても
両手でしっかり君を抱きしめたい
涙がこぼれそうさ
ヒバリのこころ
우리 이제부터 강하게 살아가자
앞길을 방해하는 벽이 몇 개 있더라도
두 손으로 꽉 너를 껴안고 싶어
눈물이 흘러내릴 것 같아
종달새의 마음
いろんなことがあったけど
みんなもとに戻っていく
ここにいれば大丈夫だと信じてた
水槽の熱帯魚から
離れられなくなっていた
僕が僕でいられないような気がしてたのに
여러 가지 일이 있었지만
모두 원래대로 돌아간다
여기에 있으면 괜찮다고 믿고 있었다
수조의 열대어로부터
떨어질 수 없게 되고 있었다
내가 나로 존재할 수 없을 듯한 기분이 들었는데
遠くでないてる 僕らには聞こえる
魔力の香りがする緑色のうた声
顔じゅういっぱい僕に微笑んでよ
風に飛ばされるまで気まぐれな蝶
僕らこれから強く生きていこう
涙がこぼれそうさ
ヒバリのこころ
멀리에서 울고 있네 우리에게는 들리네
마력의 향기가 나는 녹색의 노랫소리
얼굴 한가득 나에게 미소를 지어줘
바람에 날리어질 때까지 변덕스런 나비
우리 이제부터 강하게 살아가자
눈물이 흘러내릴 것 같아
종달새의 마음 | 

1st single
1991-03-25
PODH-1033
ヒバリのこころ

Spitz Complete Single Collection
2006-03-25
UPCH-9231
CYCLE HIT 1991-1997
|
일본FM네트워크(JFN) 제작의 라디오 프로그램 『아티스트 프로듀스 슈퍼 에디션』.
뮤직 신에서 주목받는 아티스트가 직접 프로듀스하는 한 시간짜리 프로그램인데
2013년 9월 4일(수요일) 방송된 9월의 아티스트는 스핏츠였다.
거기에서 미와 테츠야(三輪テツヤ)는 이 노래에 대해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昔、伊藤銀次さんに、この曲は一生やっていきなさいと言われた。
예전에, 이토 긴지 씨에게, 이 노래는 평생 해달라는 말을 들었어. |
● 이토 긴지(伊藤銀次): 1950년생. 싱어송라이터. 편곡자. 프로듀서. 기타리스트. | 
三輪テツヤ |
√ ヒバリのこころ 노랫말(우리말 번역)의 출처는 (c) spitzHAUS 입니다.
√ 음악은 글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스트리밍 될 뿐이며 일체의 상업적 목적은 없습니다. |
|
| 2015/01/22 00:53 | 스핏츠/SINGLE | trackback (0) | reply (11) |
Tags : Radiohead,
Spitz,
スピッツ,
伊藤銀次,
김연수,
라디오헤드,
소설가의 일,
스핏츠,
이토 긴지 |
Trackback :: http://www.myspitz.com/tt/trackback/281
|
|
|